2025 재산세 감면 대상자와 조건 한눈에 보기

2025 재산세 감면 대상자와 조건 한눈에 보기

2025 재산세 감면 대상자와 조건 한눈에 보기 썸네일

7월은 재산세 고지서가 도착하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집이 있다고 모두 같은 금액의 세금을 내는 건 아닙니다. 올해도 일정 요건을 만족하면 재산세를 줄이거나 면제받을 수 있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재산세 감면 조건과 신청 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 1. 1세대 1주택자 감면 기준

다주택이 아닌 1세대 1주택자라면 공시가격이 9억 원 이하일 경우 세율이 낮아지는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감면 세율 적용: 0.05% ~ 0.3%
  • 감면 적용 기한: 2026년까지 한시적 운영
  • 별도 신청: 필요 없음 (자동 적용)

📌 이 감면은 보유 주택 수와 공시가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 2. 자녀가 많은 가정 (다자녀) 감면

아이를 두 명 이상 키우는 가구는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재산세 감면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예: 대전 서구 기준]

  • 9억 원 이하의 주택을 1채 소유
  • 2025년 상반기 중 자녀 출생
  • 최대 50% 재산세 감면 가능

📌 적용 여부는 거주지 관할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 3. 주택연금 수령자의 세금 감면

아파트 단지 이미지

주택연금에 가입한 고령자 가구도 재산세 일부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 감면 조건: 공시가격 5억 원 이하 주택
  • 감면율: 재산세의 25%
  • 시행 기한: 2027년 12월 31일까지

📌 주택연금 수급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자동 반영됩니다.


🏘️ 4. 임대사업자 등록 시 감면

임대사업자로 등록된 경우에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재산세 부담을 낮출 수 있습니다.

  • 주택 면적: 40㎡ 이하
  • 감면 내용: 전액 면제 또는 85% 감면
  • 유지 조건: 임대사업 등록 유지 필수

✈️ 5. 특별 자산 또는 공익 목적 건물

특정 자산(기업용 토지, 비영리 목적 부동산 등)은 일반 주택과 별도로 감면됩니다.

  • 기업도시 산업용 토지: 세율 0.2%로 단일 적용
  • 공익·비영리 기관: 목적에 따라 25~100% 감면 가능

📌 대부분 사전 신청 필요하며, 관할 지자체나 세무서에서 별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감면 기준일 및 주의사항

기준 항목 내용
과세 기준일 매년 6월 1일 기준 소유자에게 과세
감면 적용 시기 7월 고지서에 반영
중복 감면 ❌ 여러 제도 중 하나만 선택 적용
지자체별 차이 조건과 대상 다름 → 반드시 거주지 관할 확인

📝 감면 신청 방법

  • 자동 적용: 1세대 1주택자, 주택연금 가입자
  • 신청 필요: 다자녀 가정, 임대사업자, 공익시설 등
  • 신청처: 거주지 구청 세무과 또는 동주민센터
  • 신청 시기: 보통 6월~9월 중 지자체마다 다름

✅ 마무리 정리

2025년 재산세 감면 제도는 다양한 대상에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1세대 1주택자는 자동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고지서를 꼭 확인하세요. 신청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한 내에 접수하셔야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재산세 감면, 알고 신청하면 확실한 절세!